콤퓨타

September 4, 2025

내 콤퓨타를 싫어하는 이유:

형이상학을 배울 때 가장 기본적으로 배우는 것은 무엇인가? 정의다. 콤퓨타의 정의는 그리스 아재들이 하던 것보다 몆 만 배는 쉬운데, 그냥 타자 칠 수 있으면 그게 콤퓨타지, 별거 없다. 그럼 이게 어떻게 돌아가냐? 이 질문도 답하기 쉽다. 트랜지스터라는 부품만 있으면 뭐든지 가능하다. 콤퓨타는 0과 1로 대화한다는데, 0은 전기가 없는 상태, 1은 전기가 존재하는 상태란다. 이진법 내의 0과 1의 관계에 대해 잠깐이라도 고찰해 보았다면, 0은 1의 부재를 의미한다는 것쯤은 금방 알아챘을 것이다. 0.5가 있는 것도 아니고, 1을 초과하지도 않는다. 단순히 존재하면 1인 것이고, 아니면 0이다. 그렇다면 0이 필요한가?

필요하지 이 빡대가리야

Never will this prevail, that what is not is: restrain your thought from this road of inquiry.

내 빠마니데스 행님을 그리 싫어하지 않아도 이거 하나 개소린 건 안다.

콤퓨타는 사실 전류의 유무가 아니라, 전압의 강약으로 0과 1을 분별한다. 임계 전압 이하 이상을 표기하는 것뿐, 0과 1의 본질적 가치와 전압이 얼마인지는 관계가 1도 없다. 동글뱅이 하나랑 작대기 하나여도 별 손색이 없을 듯. 그런데 콤퓨타를 좋아하는 많은 이들은 파많이데스를 농락하듯 무에 대해 말을 지껄인다.